티스토리 뷰
이제 HBase를 설치 했으니 PinPoint를 설치해 보자.
Pinpoint는 Scouter와 비슷한 구조인 agent, server, web(client)으로 나눠진다. Scouter는 Client를 이클립스과 같은 설치형 client를 제공하는 거에 반해 pinpoint는 web으로 제공해 준다.
그래서 하나의 tomcat에 server와 web을 모두 설치할 것이다.
1. 알맞은 tomcat 다운로드 (https://tomcat.apache.org/)
2. 압축을 풀고 설치한 뒤 conf/server.xml에 context 설정을 추가한다.
<Context docBase="collector" path="/collector" reloadable="true"/>
webapps 밑에 pinpoint-collector-1.6.2.war으 압축을 풀고 webapps/collector/밑에 저장하고 webapss/ROOT 밑에 pinpoint-web-1.6.2.war 압축을 풀어서 저장한다.
(web, collector를 같은 tomcat에 올리기 위해서 이렇게 설치했다.)
3. 톰캣을 기동해서 localhost:8080으로 접속하면 pinpont를 볼 수 있다.
4. 이제 모니터링이 필요한 jvm에 agent 설정을 추가한다.
AGENT_PATH="/home/kwonsm/pinpoint"
JAVA_OPTS=$JAVA_OPTS" -javaagent:$AGENT_PATH/pinpoint-bootstrap-1.6.2.jar"
JAVA_OPTS=$JAVA_OPTS" -Dpinpoint.agentId=tomcat01"
JAVA_OPTS=$JAVA_OPTS" -Dpinpoint.applicationName=tomcat"
참고 : https://github.com/naver/pinpoint/blob/master/doc/installation.md
'IT > 모니터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outer 에 Spring hikari pool 연결 (0) | 2019.07.17 |
---|---|
Pinpoint 사용 - HBase 설치 (0) | 2017.07.03 |
2. 성능 테스트 모니터링 준비(JMX, Scouter) - Scouter (0) | 2016.12.25 |
1. 성능 테스트 모니터링 준비(JMX, Scouter) - JMX (0) | 2016.12.25 |
Scouter에서 Non Http 서비스 hook (0) | 2016.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