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스타트업 개발 초기에는 로컬 개발환경을 도커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임시 환경에서 개발을 시작 했다. 시간이 지나서 하나의 서비스를 오픈한 후 부터는 DB 사용부터 (개발DB 도 모두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맘데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를 올리고 테스트 하는 환경이 필요한 순간이 온다. 그래서 도커를 사용하여 간단한 로컬개발환경을 구축해 보려고 한다. 로컬개발환경을 도커로 만드는 것은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아주 간단하고 빠르게 설치하고 지나갈 것이다.
1. Docker
docker 를 실행 시키고 우분투 이미지를 가져온다. (모든 서버의 OS 를 ubuntu 16.04 를 사용하고 있다)
버전을 명시하지 않으면 최신 버전을 가져오기 때문에 버전을 명시해 주는 것이 좋다.
docker pull ubuntu:16.04
그리고 이미지를 컨테이너로 만들기 위해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d 를 붙이면 데몬으로 시작되고 때문에 기동할 때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start, stop 을 지정된 이름으로 할 수 있다.
docker run --name ubuntu -d -v /Volumes/KSM\ HD/docker/ubuntu:/home/ubuntu -i -t ubuntu:16.04 /bin/bash
만약 폴더를 공유해서 사용하고 싶을 경우 -v 옵션을 사용한다.
그리고 접속을 해본다.
docker exec -i -t ubuntu bash
2. PostgreSQL
확인
/etc/init.d/postgresql status
3. 기타 필요한 것 설치
netstat : apt-get install net-tools
ssh server :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ssh client: apt-get install openssh-client
vim apt-get install vim
4. redis 설치
apt-get install redis-server
5. 컨테이너 이미지로 Export
docker export ubuntu > local_dev
6. 생성된 이미지 import
sudo docker import local_dev
* 루트 권한이 아닐경우 파일이 누락될 수 있다고 한다.
7. ssh, PostgreSQL 포트를 mac 의 포트와 연결하여 기동하기
docker run -d --name local_dev -it -p 65432:5432 -p 60022:22 local_dev /bin/bash
8. ssh 접속 가능하게 만들기
- docker 를 접속한다.
- vi /etc/ssh/sshd_config 의 PermitRootLogin 을 yes 로 변경
- root 비번 지정을 위해서 passwd 실행
- service ssh restart
ssh key 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 ssh-keysen 실행
- cat /root/.ssh/id_rsa.pub >> /root/.ssh/authorized_keys
- id_rsa 를 사용하여 ssh 접속
'IT >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default timezone (0) | 2019.03.07 |
---|---|
Java8 Feature (0) | 2019.03.04 |
Spring @Transactional 사용하기 (0) | 2018.10.18 |
Spring + JWT (0) | 2018.08.31 |
객체지향 이란 (0) | 201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