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CP_NODELAY : 데이터 송수신에 Nagle알고리즘(가능하면 데이터를 나누어 보내지 말고 한꺼번에 보내라)의 비활성화 여부를 지정한다. (TCP/IP의 헤더 크기는 약 50바이트)
SO_KEEPALIVE : 운영제체에서 지정된 시간에 한번씩 keepalive 패킷을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SO_SNDBUF : 송신할 커널 송신버퍼 크기
SO_RCVBUF : 수신할 커널 수신버퍼 크기
SO_REUSEADDR : TIME_WAIT상태의 포트를 서버 소켓이 바인딩 할 수 있게 한다.
SO_LINGER : 소켓을 닫을 때 커널의 송신 버퍼에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의 전송 대기시간을 지정
SO_BACKLOG : 동시에 수용 가능한 소켓 연결 요청 수. TCP 핸드 셰이크 중 SYN를 전송하고 SYN-ACK 패킷을 전송하면 2단계 처리가 완료되고 상태가 RECEIVED로 변경되는데 SYN RECEIVED 상태로 변경된 소켓 연결을 가지고 있는 큐의 크기를 설정하는 옵션이다.
'IT >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에 개인 maven repository 생성하기 (0) | 2018.02.14 |
---|---|
Garbage Collection (0) | 2017.02.04 |
Object class (0) | 2017.02.01 |
IO / NIO (0) | 2016.01.01 |
Java Architecture (0) | 2015.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