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몇 년전 iOS 푸쉬를 사용하고 암 투병생활을 좀 해서 다시는 하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회사에서 다시 해야만 하는 상황이 생겼고 이 번에는 React Native(이하 RN) 환경에서 구축하게 되었다. 다행히 암(Push 설정)을 암(RN) 으로 치료하는 기적의 딜 교환으로 이틀 만에 AWS 를 통한 푸쉬 전송을 할 수 있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RN 버전은 아래와 같다. "react": "16.3.1", "react-native": "0.55.2" RN의 버전은 사용할 다른 라이브러리에 맞춰서 좀 낮은 편인 듯 하지만 현재 0.59까지 나온걸 생각하면 괜찮은 편이다. 참고로 RN은 0.0.1 올라갈 때 마다 지각변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0.0.1도 쉽게 허용해서는 안된다. 다음으로 react nati..
socuter server 의 conf 폴더 안에 account.xml 을 보면 인코딩된 password 를 볼 수 있다. 구글링을 아무리 해도 password 를 인코딩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어서 소스를 확인하며 가져왔다. public static String sha256(String plainText) { String salt = "qwertyuiop!@#$%^&*()zxcvbnm,."; String sha256Text = null; if (plainText != null) { try { MessageDigest sha256 = MessageDigest.getInstance("SHA-256"); sha256.update(salt.getBytes()); byte[] byteArray = plainTex..

이전 bitbucket pipeline 사용하기(https://jamcode.tistory.com/57) 에 간단한 pipeline 에 대한 설명을 참고 할 수 있다. 이번에는 실제로 적용한 예를 공유하려고 한다. 프론트는 node 환경에서 ReactJS 를 통해서 개발하고 webpack 으로 빌드된 bundle.js 및 기타 resource 를 배포할 것이고 백엔드는 java 를 gradle 로 빌드하여 jar 를 만들어 배포할 것이다. 우선 bitbucket-pipelines.yml 을 작성해 보자. bitbucket 은 docker 환경에서 빌드를 진행하며 전체의 docker 이미지를 설정할 수도 있지만 각 step 의 image 를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제공해 주는 image 중 ..